양영순 (2025). 「의식, 그리고 알아차림」. 『새로운 삶의 입구 IPKU』. 2월 18일.
양영순 (2025). 「자각과 夢, 그 사이에서 ‘메멘토 드림’」. 『새로운 삶의 입구 IPKU』, 2월 12일.
맹현철 (2024). 「남아시아의 2024년」. 『아시아브리프』, 4권 39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12월 23일.
맹현철 (2024). 「인도 미디어 시장을 장악하는 초거대 미디어 콘텐츠 기업의 탄생」. 『신문과 방송』, 12월호.
맹현철 (2024). 「모디 3.0 첫 예산안을 통해서 본 인도 경제 정책 방향」. 『AIF 인도ㆍ남아시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월 8일.
맹현철 (2024). 「최악으로 치달은 인도의 언론 환경」. 『신문과 방송』, 10월호.
양영순 (2024). 「꿈속으로 들어가기, 꿈속에서 깨어나기」. 『새로운 삶의 입구 IPKU』, 9월 10일.
맹현철 (2024). 「세계가 주목하는 인도의 가짜 뉴스」. 『신문과 방송』, 8월호.
맹현철 (2024). 「모디 인도 총리 3연임 … ‘연정’ 숙제 탓 독단 리스크는↓」. 『이코노미 조선』, 545호, 6월 17일.
맹현철 (2024). 「고성장에 굳혀지는 모디 3연임 … 총선으로 본 인도 경제」. 『이코노미 조선』, 539호, 5월 6일.
맹현철 (2024). 「인도는 EXO와 BTS에 대해 알고 있다」. 『신문과 방송』, 4월호.
맹현철 (2024). 「인터넷 보급 OTT 인기로 ‘발리우드’ 지고 ‘톨리우드’ 뜬다」. 『신문과 방송』, 2월호.
맹현철 (2024). 「새우 산업 육성이 인도 정부의 중요 경제 정책인 이유」.『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13호.
맹현철 (2024). 「2024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11호.
맹현철 (2024). 「인도의 과일」.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10호.
맹현철 (2024). 「2024년 인도 총선: 정리와 향후 전망」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9호.
맹현철 (2023). 「인도의 술」.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7호.
맹현철 (2023). 「발전하는 인도 스포츠와 관련 산업」.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6호.
맹현철 (2023). 「인도 의료보건 산업의 모든 것」.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5호.
맹현철 (2023). 「인도의 패션 산업」.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4호.
맹현철 (2023).「인도의 공휴일은 단, 3일?」.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3호.
맹현철 (2023). 「인도 식탁에서 토마토가 사라졌다」 .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2호.
맹현철 (2023). 「인도 전기차 시장 전망 – 오토바이 밝음, 승용차는?」. 『경북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글로벌 리포트』, 1호.
강성용 (2022). 「붓다를 묻다 (특집: 종교의 의미를 찾다)」. 『IPKU-New Horizons』, 11월 1일.
강성용 (2020). 「인도 노동자들의 미래를 향한 여정에 코로나-19는 어느 방향으로 가속도를 더해 줄 것인가?」. 『다양성+Asia』, 11호.
김윤호 (2020). 「인도 팹랩(Fab Lab)의 지속가능성」. 『다양성+Asia』, 1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