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순 (2024). 「자발적인 단식존엄사(VSED)로서 살레카나의 현대적 불교화」. 『2024 한국불교학회 추계학술대회: 불교에서 보는 죽음과 존엄사 문제』, 10월 29일.

양영순 (2024). 「뿌즈야빠다( pūjyapāda)의 사마디딴뜨라(samādhitantra)에 나타난 자아론」. 『인도학회 56차 정기학술대회: 인도-다양성의 시대, 이해와 도전』, 6월 1일.

양영순 (2024). 「자이나교의 죽음의례-살레카나에서 장례까지」. 『인도철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인도 티벳의 의례문화와 수행』, 5월 24일.

양영순 (2024). 「일체지[자]의 직접지각: 헤마짠드라의 pramāṇamīmāṃsā에 기반하여」. 『한국불교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불교인식논리학의 주름과 펼침』, 4월 27일.

강성용 (2022). 「인도의 아시아 인식과 전략: 지역 패권국으로서의 인도 읽어내기」. 『21세기 메가아시아 형성의 동력, 신대륙주의와 신해양주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 메가아시아연구 클러스터 2차 워크샵)』, 11월 2일.

강성용 (2022). 「붓다, 붓다에게 묻다」. 『20회 붓다 빅케스쳔 (마인드아카데미 & 불광 공동 주최』, 10월 15일.

이명무·김윤호·박양호 (2022). 「인도 100대 스마트시티 정책의 통합시스템과 방향」. 『2022년한국유통학회추계학술대회』, 10월 14일.

강성용 (2022). 「전통과 관습 그리고 경제발전 전략의 사이에 선 인도 사회」. 『관세청 2022년도 국제원산지 세미나』, 9월 21일.

강성용 (2022). “Social and religious context of agency in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the Buddhist pramāṇa tradition in northeast Asia.” The Sixth International Dharmakirti Conference, August 26.

강성용 (2022). 「명상의 대중적 전파, 시장, 소비 그리고 고전의 재창조: Mahāsatipaṭṭhāna-Sutta/大念處經과 McMindfulness의 경우」. 『제8회 인문학연구원 <고전 워크숍>』, 5월 23일.

강성용·이명무·김윤호 (2020). 「COVID-19가 인도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노동격차와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ODA 국제컨퍼런스』, 12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