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nter for South Asian Studies
  • 02-880-2868
  • csas@snu.ac.kr
    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및 활동
      • 사람들
      • 찾아오시는 길
    • 학술행사
      • 콜로퀴엄
      • 워크샵 / 세미나
      • 간담회 / 특강
      • 학술대회 / KIP
    • 연구성과
      • 단행본
      • 논문
      • 발표
      • 기고
    • 교육과 소통
      • 남아시아문화학교
      • 강성용의 남아시아 이야기
      • 남아시아 이모저모
    • 남아시아 포럼
      • 한-인도 산업포럼
      • MPEFB, KIP
    • 공지와 자료
      • 공지사항
      • 자료실

    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

    • Home
    • 행사활동 콜로퀴엄/ 특강
    • 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
    [삼프로TV] 강성용의 남아시아 인사이드 [시즌 2] 15화: 왜 캐나다엔 인도계 시크교도인들이 많을까? (강성용 서울대 남아시아센터장)
    October 8, 2023
    [삼프로TV] 강성용의 남아시아 인사이드 [시즌 2] 16화: 한국 뺨치는 인도 재벌의 문어발 확장력 (강성용 서울대 남아시아센터장)
    October 22, 2023
    Published by editor on October 10, 2023
    Categories
    • 콜로퀴엄/ 특강
    Tags

    산스크리트 문헌의 현대적 디지털화 방안

    발표자: 함형석(전남대학교 철학과)

    일시: 2023년 10월 16일(월) 16:00 ~ 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Review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는 전남대학교 철학과 함형석 교수를 초빙하여, 산스크리트 문헌의 디지털화에 대한 콜로키움을 개최하였다.

    산스크리트 문헌의 디지털화는 주로 기존의 연구 활동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TEI를 이용한 작업은, 인문학자가 자주 사용하는 태그TEG의 모음인 TEI를 사용해, 원자료에 태그를 달아 가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TEI를 재구성하여 문헌을 인코딩한다. 이 과정은 능동적인 독서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이해한 암묵적 지식을 의식화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우리는 비정형 산스크리트 문서를 정형화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원자료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는 텍스트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과 통시적인 접근 또한, 이러한 디지털화를 통해 가능해지게 될 것이다.

     

    Share
    1
    editor

    Related posts

    April 14, 2025

    인도의 재벌과 경제 발전: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


    Read more
    July 31, 2024

    고대 요가 개요서, Dharmaputrikā Saṃhitā 편집하기


    Read more
    June 11, 2024

    현대 인도의 카스트 – ‘카스트’를 유지하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Read more

    Comments are closed.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