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nter for South Asian Studies
  • 02-880-2868
  • csas@snu.ac.kr
    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및 활동
      • 사람들
      • 찾아오시는 길
    • 학술행사
      • 콜로퀴엄
      • 워크샵 / 세미나
      • 간담회 / 특강
      • 학술대회 / KIP
    • 연구성과
      • 단행본
      • 논문
      • 발표
      • 기고
    • 교육과 소통
      • 남아시아문화학교
      • 강성용의 남아시아 이야기
      • 남아시아 이모저모
    • 남아시아 포럼
      • 한-인도 산업포럼
      • MPEFB, KIP
    • 공지와 자료
      • 공지사항
      • 자료실

    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 Home
    • 행사활동 워크샵
    • 제4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조현TV휴심정] 도파민 중독 시대, 인생이 여전히 고통인 이유 | 종교문해력 총서 2 불교 강성용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미처 몰랐던 불교, 알고 싶었던 붓다’
    April 9, 2024
    뉴델리, 영국 제국주의와 인도 민족주의의 마지막 전장
    April 17, 2024
    Published by editor on April 12, 2024
    Categories
    • 워크샵
    Tags

    본 강독에서는 『유식이십론』 20송 부분의 수사적 위력과 논리적 헛점을 살펴본다. 관념론을 거부할 경우 ‘의지적 업이 신체적 업이나 언어적 업보다 위중하다’는 불교윤리학의 근본 원리가 위태로워진다는 바수반두의 지적은 논리적 오류이며 심지어 이 오류가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이기 위해 『유식이십론』과 그 주석들을 살펴볼 예정이다.

    Photos

    Review

    본 강독회에서는 『유식이십론』 20송 부분의 (아마도 의도된) 논리적 헛점을 검토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바수반두는 『유식이십론』에서 시종일관 불교관념론을 논리적으로 옹호한다. 대상의 실재성을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세계관에 맞서 인식 독립적인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고도 세계를 합리적으로, 그리고 어쩌면 더욱 ‘경제적으로’, 그려낼 수 있음으로 보이고자 하는 것이 그의 큰 전략이다. 이런 맥락에서 관념론적 세계관을 거부한다면 의지적 업이 신체적 업이나 언어적 업보다 위중하다는 불교윤리학의 근본 원리가 어떻게 성립할 수 있겠느냐는 20송의 일갈은 매우 돋보이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대목은 그 수사적 강력함에 비해 논리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강독회에서는 『유식이십론』20송 및 자주(自註), 그리고 여타 주석들을 읽어나가면서 바수반두의 논리적 헛점이 무엇인지, 헛점이라면 의도된 것인지, 허점이 아닐 수 있다면 어떠한 해석 하에서 그럴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Share
    0
    editor

    Related posts

    May 30, 2025

    제12회 인도문헌연구 워크샵: 불교, 의학, 논리학, 문법학, 공예 및 기술: 불교 다섯 학문 전통의 형성과 전개


    Read more
    April 29, 2025

    WeJump: 디지털 교육과 청소년 리더십을 연계한 글로벌 사회혁신 모델


    Read more
    April 25, 2025

    제11회 인도문헌연구 워크샵: 붓다의 의식, 붓다의 몸_의식의 현현과 형상에 관한 논쟁


    Read more

    Comments are closed.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All Rights Reserved.